생활의 지혜

[스크랩] 다이마루와 우븐

신푸르미 2008. 3. 12. 12:38

원단은 크게 다이마루우븐으로 나눌 수 있다.

환편니트 (다이마루)
일명 다이마루라고 하며 다이마루란 둥근 환편 기계 에서 짜여지고 원단도 통 짜로 생산된다.다이마루는 쉽게말해 티셔츠원단 을 생각하면 좀쉽게 머리속에 떠오를것이다.




싱글 (single):

CM10's/1 ,CM20's/1,CM30's/1,CM30's/2,CM40's, CM60's/2 등등 이있다
CM10's/1=10수한올 =코마 10수라 읽는다. 30's/2=코마 30수 두올 =15수 와 같은 굵기임
일반적으로 봄에는 20's/1정도 원단을 사용. 여름에는 30's/1 silket,40's/1 silket,60's/2 double silket 사용함 .궁금하면 동대문 시장에 가보자.요새는 기본
베이직 원단보다 변형원단이 나오고 있으나 먼저 기본적인 것을 아는 것이 좋다.
front back

싱글 실켓(single silket)

앞에서도 실켓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말 그대로 싱글 원단 에 실켓가공을 하는것이다.
실켓가공이란 양잿물로 원단 겉을 살짝 태우는 것으로써 겉표면에 있는 보풀 같은 것을 깨끗이 처리해주고 원단 표면을 반짝 반짝 빛나게 한다. 가공 처리 가 더 된 만큼 원단 가격도 그냥 싱글 원단보다 비싸다.
더블 실켓 이라는 말도 있는 데 이는 원사에 실켓처리를 한 후 원단에 실켓가공을 하는 것 이다

쮸리 (zurry)

앞면은 싱글조직으로 짜여 있고 뒷면은 루프조직으로 되어있다.

종류는 2단쮸리 4단 쮸리 등이 있다.CM20's+CD10's,CM30's+CM8's등등 S
앞바닥은 코마20수 나 30수 바닥에 뒷바닥에 카드 10수나 코마8수 를 넣어 짠다.
어찌되었건 앞바닥은 가는실 뒷바닥은 두꺼운 실로 짠다는 것만 알아두자. 간단히 코마사는 좋은실 카드사는 코마사보다 질이 안 좋은 실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원단은 주로 츄리닝 이나 맨투맨 티 등 에 사용된다.
front back

피케이 (pique)

피케이는 벌집 모양의 원단 조직으로 되어 있어서 피케이라고 부른다.
주로 요꼬 티에 사용된다.요꼬티는 에리 달린 티셔츠 일명 폴로 티라고 한다.
봄:CM20's/1,CM 40's/2
여름:CM20's/1,CM30's/1,이나 silket 처리한 것 등 을 사용


양면

양면은 앞뒤의 조직이 같아서 양면이라 부른다.마치 별개의 두개의 원단을겹 쳐놓은 것과 같다.주로 기본 목 폴라 티셔츠로 사용된다.
20's/1양면 ,30's/1 양면,40's/1양면등 봄 가을 철에 사용된다.
front back

분또: 양면 조직과 똑 같은 조직이나 폴리가 많이 섞여있어 탄탄한 느낌을 준다.

사카리바

사카리바가 왜 사카라바 인지는 정확지 않으나 무늬 이름 이라고 한다. 사카리바는 양면 조직으로front의 원단과 back면 원단을 폴리로 연결 함으로 써 보온성을 한층 더해준다.
기본 사카리바 원단은 봄,가을 에 주로 사용하고 뒤 바닥에 기모를 긁어서 겨울에 사용 하기도 한다.
front back

후라이스
골지 조직으로 스판 을 안 넣어 짠 원단을 말한다.
30수 40수 등이 있다.
나시티셔셔츠로 많이 사용. 요즘은 스판사 넣은 것을 선호한다.

front back





우븐(woven)

우븐은 크게 면(cotton) ,마 ,견(silk) ,모(wool) ,폴리에스테르(polyester),나일론(nylon) 으로 나눌수 있다.
P/C=폴리 에스테르/코튼 , N/C=나일론/코튼 , C/P=코튼/폴리에스테르 등 원단의 혼용률에 따라 이름 지어지기도 하고 그뒤에 원단 조직의 이름 을 붙여서 명명 되기도 한다.
(면 트윌 , 옥스포드 ,C/P트윌,N/C 트윌 )

면(cotton) :

흡습성 통기성이 있으며 습윤강도가 크다. 또 내열성이 크고 염색성이 우수하나 탄성이 적어 구김이 생기기 쉽다.

조직 트윌(앞바닥은 사선조직임)

10수,15수,20수,30수,40수,50수등이 있다.
봄:20수,40수/2에 약간 기모를 내서 사용한다.(피치스킨이라고 한다.복숭아 겉표면과 같은 느낌)
겨울: 10수 나 15수에 기모를 내서 사용 함. 여름:30수,40수 ,50수 아이템에 따라 약간의 두께 차이가 있다. 이 트윌 조직은 기본조직 이므로 모든 원단에 적용된다.

front back

평직 ( 능직,평직 이라 명명 된다.)

10수,20수,30수,40수 50수 60수 100수...실의 번수가 높을 수록 가격이 높고 더 고급스럽다고 생각하면 된다.

front back

면의 종류

1.포플린:

일반적으로 경사보다 위사 에 굵은 실을 사용하여 밀도 도 경사밀도를 크게 하여 위사방향으로 이랑이 나타나 보이는 평직 물 이다.제직 후 표백하고 싱켓 가공하여 광택과 촉감을 좋게 한 튼튼한 직물이다. 스커트 파자마 드레스 등에 사용된다.

2.브로드(broad):

포플린의 고급품으로 포플린 보다 가는실을 사용하고 있다. 조밀한 짜임과 광택을 가지며 부드럽고 쾌적한 옷감으로서 파자마, 블라우스, 네글리제, 아동복 등에 사용된다.

3.리플:

면 섬유는 진한 수산화나트륨후 용액에 수축된다.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면직물에 수산화 나트륨을 섞은 풀을 줄또는 점으로 칠하면 수산화 나트륨에 처리된 부분이 수축됨에 따라 직물의 표면은 오톨도톨하게된다. 리플은 이러한 처리를 하여 표면에 요철무늬를 넣은 직물로써 세탁후 에도 요철무늬가 없어지지 않는다. 여름복지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드레스 블라우스 파자마 네글리제 아동복등에 주로 사용된다.

4.서커(sudker):

경사방향으로 파상의 요철이 있는 부분과 편편한 부분을 교차 시켜서 줄무늬효과와 입체감을 준 직물이다. 몸에 붙지않아 여름옷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드레스 블라우스 파자마 네글리제 등으로 사용한다.

5.로온(loan):


품질이 좋은 가는실을 사용한 평직물 로서 경쾌한 촉감을 가진 마직의 느낌을 주는 얇은 직물이다.드레스 블라우스 아동복에 사용된다.

6.보일(voil):

평직 으로 짠 가볍고 투명한 천으로 까칠까칠하여 여름용의 복지로 좋음.

7.옥스포드(oxford):

바스켓 조직으로 짠 면직물이다.

8.피케이:

경이중직을 이용하여 두둑무늬를 표현한 튼튼한 직물이다

9.데님:

경사는 색사를 위사는 표백한 실을 사용하여 짠 능직의 두꺼운 직물오서 겉 과 안의색이 틀린 것이 특징이다. 경사위사 모두 색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10.벨벳 틴:

면 빌로오드 라고도 부르며 평직 과 능직의 두 종류가 있다. 옷간의 표면이 짧은 파일로 되어 있으며 고급품은 견을 사용 하기도한다. 이것은 광택이 있으며 두꺼우면서도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있다.
수트 ,스커트 ,원피스 등에 사용함.

11.코듀로이:

위사 방향의 파일이 밭이랑 모양을 하고 있는 면 파일 직물로 이랑의 폭이 넓은 것과 좁은 것이 있다. 두꺼우면서도 부드럽고 보온성이 있으며 슬랙스 스커트 아동복코트에 사용한다.





강도가 강하고 흡습성과 통기성이 풍부하며 촉감이 좋으나 탄성률이 적어 구김이 잘간다. 습도가 높은 여름철용 복지로서 없어서는 안 될 옷감이다 마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나 아마(linnen)와 저마(rami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1.아마
:아마의섬유로 짠 것이 린넨으로 중량감을 가지며 수분의 흡수와 발산이 좋아 여름 복지로서 가장적합하다.
2.저마:
저마의 섬유로 짠 것으로 깔깔하고 딱딱한 느낌을 준다.



누에고치로부터 얻은 장섬유로 독특하고 우아한 광택을 지니고 있으며 촉감이 좋고 다른 섬유에비해 착용감이 우수하다.알칼리 일광 마찰에 약하며 일광에서는 백색이 황변하기 쉽다.

1.산퉁:
위사에 마디가 있는 평직으로 딴 견직물로 견 외에 면 에이온 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섬유가 사용되기도 한다. 드레스,코트, 수트 등에 사용한다.

2.타프타(taffeta):
평직으로 짠 필라멘트 직물인데 견 외에 레이온 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화학섬유 제품도 많다. 드레스,수트,코트,블라우스, 가운 등에 사용한다

3.새틴:
수자직으로 경사 또는 위사만을 돋보이게 한 직물로 아름다운 광택이 있으며 드레이프가 있는 디자인에 적합한 직물로서 드레스, 블라우스,나이트 드레스,스카프,코트의 안감, 스커트 등에 사용한다.

4.브로케이드:
능직 또는 수자직 바탕에 문양을 짜낸 호화스러운 직물로서 원래는 견사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면사를 비롯한 여러 가지 섬유사로 만들어지고 있다.

5.벨벳:
빌로오드라고도 하며 0.3-1mm길이의 짧고 부드러우면서도 빽빽한 경 파일을 가진 직물이다. 파일경사로서는 주로 견, 레이온,나일론, 등이 사용되며 고급품은 기 조직까지 견을 사용하기도 한다.

6.조오젯:
조오젯 크레이프 라고도 부르며 얇고 투명한 주름이 있는 평직물 로서 특유의 빳빳함과 드레이프 성이 있다.
모, 레이온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화학섬유로 된 것도 있다. 드레스,블라우스, 스카프 등에 사용한다.

 


1.직물의 표리 구분 방법
가.직물이 단위표장 되어있는 경우(표면)
1)양복지등 Double Folding 된것은 안쪽부분
2)면,합성 직물등 Rolling 된것은 바같부분.
3)접어개기 등은 최종 접어개기의 바같부분
4)상표등이 날인 되어 있는 경우는 상표가 있는쪽
5)Selvage상표.표식.등이 정확이 읽을수 있는 방향
6)텐타의 크립이나 핀자욱이 있을때 흔적이 별로 나타나지않는 부분.

나.직물이 시편인 경우(표면)
1)평활하고 매끄러운쪽
2)촉감이 부더러운 쪽
3)문직.나염직물등은 연속적으로 무늬가 선명한 쪽
4)능직물은 원칙적으로 능선이 우상으로 선명한 쪽
5)파일직문 파일이 매끈한 쪽
6)모직물은 매끈하고 촉감이 좋은쪽.전모된 쪽
비교적 많이 기모 된쪽

2.직물의 경위사 구분방법(경사)(장)
1)Selvage가 있을때 selvage방향
2)바디살자리가 보일때 바디살 방향
3)대체로 밀도가 높은쪽
4)사의 강력이 강한 쪽
5)원단을 양손으로 당겼을때 신축성이 적은쪽
6)확대경으로 보았을때 사의 배열이 정연하고 안정되어 있는 쪽
7)호부가 어느 한쪽에만 되어 있을때 호부된 쪽
8)경위사가 합사와 단사로 되었을때 합사방향
9)경위사가 모두 동종사를 사용했을때 가늘고 꼬임이 많고 섬유장이 긴쪽
10)경위사중 어느 한쪽이 선염무늬 직물일 경우 선염무늬 방향
11)경위사 모두 선염무늬 직물일때 색사의 변화가 많은 쪽

. KS에 의한 섬유의 분류

1]천연섬유

1)셀룰로우스 섬유

가)줄기 섬유.... 아마. 랑마, 저마, 대마등 기타의 섬유
나)과실 섬유... 야자섬유몇 기타 섬유
다)잎 섬유... 아바카, 시미살 및 기타섬유
라)씨 섬유... 무명, 카폭 및 기타섬유

2)단백질 섬유

가)스테이플... 헤어섬유.. 알파카, 낙타, 캐시미어, 파바토끼, 비큐나 및 기타섬유
나)양털섬유

3) 광물질 섬유.. 석면

출처 : 마마는 바느질중
글쓴이 : 짜투리원단 원글보기
메모 :